티스토리 뷰
■ 테일러 준칙이란?
한국은행이 일반은행과 돈을 거래 할 때의 금리를 가리켜 기준금리라고 합니다. 즉 기준금리가 5%라면 여윳 돈이 있는 일반은행은 한국은행에 5%의 이자를 받고 예금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돈이 없는 일반은행은 한국은행에 5%의 이자를 주고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준금리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끝없이 변동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기준금리가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런 의문에 멋진 힌트를 주는 것이 테일러 준칙입니다.
스탠퍼드대학의 존 테일러 교수가 만든 것으로 공식이 무척 간단합니다.
기준금리 = 인플레이션율 + 균형실질금리 + 0.5×(실제 인플레이션율–목표 인플레이션율) + 0.5×(실제성장률-잠재성장률)
▶ 균형실질금리 : 테일러 준칙을 처음 만들 때는 2%로 계산하였는데, 경제성장률이 낮아진 지금은 1%로 보고 있습니다.
예시 1)
올해의 인플레이션율이 2%이고, 목표 인플레이션율이 2%, 올해의 경제성장률이 3%, 잠재성장률도 3%라면
기준금리는 = 2% + 1% + 0.5×(2%-2%) + 0.5×(3%-3%) = 3%가 됩니다.
예시 2)
올해의 인플레이션율이 3%이고, 목표 인플레이션율이 2%
실제성장률이 3%, 잠재성장률이 2%라고 가정하면
기준금리는 = 3% + 1% + 0.5×(3%-2%) + 0.5×(3%-2%) = 5% 퍼센트가 됩니다.
그렇다면 테일러 준칙은 그동안 기준금리를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했을까요? 테일러준칙으로 계산한 값과 미국의 기준금리라 할 수 있는 연방기금금리가 얼마나 찰떡 궁합인지는 아래의 그래프를 보시면 됩니다.
https://fred.stlouisfed.org/graph/?g=cN69
출처 : 경제신문읽는방법 https://ecodemy.cafe24.com/index.html
'독서 > 경제·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퍼인플레이션 {정의, 원인, 대책} (1) | 2023.05.12 |
---|---|
인플레이션 {정의, 원인, 핵심 원인 3인방, 역사, 인플레이션 갭, 인플레이션과 주가의 관계} (1) | 2023.05.12 |
금리 결정 요인은?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0) | 2023.05.09 |
경기와 금리의 관계는? (0) | 2023.05.09 |
금리와 투자의 관계는? (0) | 2023.05.09 |
- Total
- Today
- Yesterday
- 경제적자유
- 세계관이론
- 디플레이션
- 데스크톱애플리케이션
- 이한별대표
- 망각시스템
- 가치 있는 목표
- 외국어고등학교
- 이고잉
- 12가지 인생의 법칙
- 비전공생
- 라이프해킹스쿨
- 퍼널
- 비트코인
- 정체성이론
- 가상 자산
- Jordan B. Peterson
- 창업
- Git
- 문과
- 이한별
- 방어시스템
- 암호 화폐
- 인플레이션
- 무자본 창업
- IT취업
- 생활코딩
- 창업형 인간
- 긍정적 스트레스
- 삶의의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