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기와 금리의 관계는?
경제가 좋지 않을 때는 금리가 낮습니다. 경제가 좋지 않을 때 금리가 낮은 이유는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현재 경제가 좋지 않다고 합시다. 경제가 좋지 않을 때 사람들은 몸조심을 합니다. 일반 시민들은 가장이 언제 짤릴지 모르는 관계로 악착같이 쇼핑을 줄이고, 조금이라도 돈이 남아돌면 즉시 은행에 저축을 합니다.
사장님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경제가 나쁜 관계로 괜히 새로운 사업을 하고, 새로운 공장을 세웠다가 아차하면 그동안 모은 재산을 날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윳돈이 있으면 일단 은행에 예금을 해두고 후일을 도모합니다.
경제가 나빠지면 이렇게 알아서 예금을 하는 사람은 늘어나지만 돈을 빌려서 쇼핑을 하려는 사람과 투자를 하려는 사장님은 좀처럼 찾아 볼 수가 없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경기가 나쁠 때는 예금하는 사람은 넘쳐나는데 빌려가는 사람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어 지고, 그 결과 은행에 돈이 흘러넘치게 됩니다. 그리고 돈이 흘러넘치게 되는 만큼 각종 금리가 하락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경제가 좋을 때는 금리가 어떻게 될까요? 경제가 좋을 때는 금리가 높아 집니다. 경제가 좋을 때 금리가 높아지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경제가 좋다고 합시다. 경제가 좋을 때는 회사에서 잘릴 염려가 없습니다. 따라서 대출을 받아서 차를 바꾸고, 냉장고를 바꿉니다. 한편 사장님들도 경기가 좋아지는 만큼 살금살금 욕심이 생깁니다. 따라서 그동안 모아 두었던 돈을 찾아 기계를 사고, 공장을 세웁니다. 그래도 돈이 모자란다면 기꺼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기계를 삽니다.
경제가 좋아지면 대출을 하려는 사람은 늘어나지만 예금을 하는 사람을 찾아 보기가 힘들어 집니다. 경제가 좋은 만큼 주식투자와 펀드투자로 떼돈을 벌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서 경제가 좋아지면 대출을 하려는 사람은 많은데 예금을 하려는 사람이 찾아보기 힘들어 지고, 그 결과 은행창고의 돈이 씨가 마르게 됩니다. 그리고 돈이 부족해지는 만큼 각종 금리가 상승을 하게 됩니다.
출처 : 경제신문읽는방법 https://ecodemy.cafe24.com/index.html
'독서 > 경제·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일러 준칙(기준금리의 예측) (0) | 2023.05.09 |
---|---|
금리 결정 요인은?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0) | 2023.05.09 |
금리와 투자의 관계는? (0) | 2023.05.09 |
금리란? {이자와 이자율의 차이, 금리} (0) | 2023.05.08 |
금융상품 {정의, 종류} (0) | 2023.05.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무자본 창업
- 가치 있는 목표
- 외국어고등학교
- Git
- 문과
- 암호 화폐
- 가상 자산
- 생활코딩
- 정체성이론
- 데스크톱애플리케이션
- IT취업
- 라이프해킹스쿨
- 세계관이론
- 경제적자유
- 디플레이션
- 비트코인
- 망각시스템
- 방어시스템
- 창업
- 이한별
- 12가지 인생의 법칙
- 퍼널
- 삶의의미
- 비전공생
- 이한별대표
- 이고잉
- 창업형 인간
- Jordan B. Peterson
- 긍정적 스트레스
- 인플레이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