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물가상승시 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지금 현재 한국은행이 일반은행에게 돈의 빌려줄 때의 금리가 1%라고 합시다. 유식하게 말해서 기준금리가 1%라면 일반은행은 한국은행에서 1%의 금리를 주고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만약 한국은행에게 1%의 금리를 주고 돈을 빌렸다면 일반시민에게는 얼마의 금리를 받고 돈을 빌려줄까요? 아마 약간의 이익을 더해서 약 2%~3%의 정도의 금리를 받고 돈을 빌려줍니다.
이렇게 빌린 돈으로 우리는 집도 사고, 차도 삽니다. 그리도 12개월 할부로 핸드폰도 사고, 컴퓨터도 바꿉니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물가가 폭등하기 시작하고, 물가가 안정을 찾을 기미가 안 보인다고 합시다. 유식하게 말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합시다.
이때 한국은행은 일반은행과 거래할 때의 금리를 인상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일반은행과 거래할 때의 금리, 즉 기준금리를 10%로 높이면 어떻게 될까요? 이제 일반은행이 한국은행한테 돈을 빌리려면 10%의 금리를 주어야합니다.
만약 한국은행에서 10%의 금리를 주고 돈을 빌렸다면 일반 시민에게는 얼마의 금리를 받고 돈을 빌려줄까요? 최소한 11% 이상은 받아야 합니다. 그렇게해야 주머니에 떨어지는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대출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은 이제 더 이상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살 수도 없고, 차를 바꿀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12개월 할부로 컴퓨터를 살 수도 없고, 핸드폰을 살 수도 없습니다. 즉 사람들이 지갑을 닫게 됩니다.
사람들의 씀씀이가 줄어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컴퓨터와 핸드폰은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골동품이 됩니다. 따라서 할인판매를 해서라도 처분을 해야 합니다. 자동차도 연식이 바뀌면 은근히 똥값이 됩니다. 따라서 엄청난 할인공세를 해서 올해 안에 처분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돈을 빌려서 집을 사는 것은 더더욱 겁이 납니다. 집을 사기위해 3억을 빌렸는데 대출금리가 11%라면 1년에 이자만 3300만원입니다. 도저히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살수가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집을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면, 오르기만 하던 집 값도 하락을 하게 됩니다.
즉 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의 씀씀이가 줄어들고, 그 결과 할인판매하는 상품이 증가하게됩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물건의 가격이 조금씩 안정을 찾게 되고, 그 결과 폭등하는 물가가 안정을 찾게 됩니다.
물론 그렇다고 진자로 1%에서 10%로 무식하게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쉬운 이해를 위해서 극단적인 예를 든 것이니 오해는 마시기 바랍니다.
'독서 > 경제·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밀턴 프리드먼 - 화폐경제학 ] (0) | 2025.02.17 |
---|---|
[ 1장 : 정치 ] 트럼프 2.0 시대 - 박종훈 박사 (0) | 2024.11.24 |
디플레이션 {정의, 무서운 이유, 부채(depth)디플레이션} (1) | 2023.05.12 |
하이퍼인플레이션 {정의, 원인, 대책} (1) | 2023.05.12 |
인플레이션 {정의, 원인, 핵심 원인 3인방, 역사, 인플레이션 갭, 인플레이션과 주가의 관계} (1) | 2023.05.12 |
- Total
- Today
- Yesterday
- 가상 자산
- 창업
- 이고잉
- 정체성이론
- 비트코인
- Git
- 인플레이션
- 문과
- 디플레이션
- 이한별
- IT취업
- 긍정적 스트레스
- Jordan B. Peterson
- 비전공생
- 무자본 창업
- 생활코딩
- 세계관이론
- 이한별대표
- 가치 있는 목표
- 암호 화폐
- 외국어고등학교
- 라이프해킹스쿨
- 망각시스템
- 경제적자유
- 삶의의미
- 퍼널
- 데스크톱애플리케이션
- 12가지 인생의 법칙
- 방어시스템
- 창업형 인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