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독서/경제·통계

적금 (예금의 한 종류)

Ben의 질서세우기 2023. 5. 4. 21:45
728x90

적금

적금이란 매월 1만원씩, 또는 10만원씩 약속한 날짜에 꼬박꼬박 돈을 넣어서 목돈을 만들 때 이용하는 통장을 말합니다. 적(積)자는 ‘쌓을 적’ 자입니다. 쉽게 말해서 벽돌을 쌓듯이, 돈을 차곡차곡 쌓아서 결혼자금을 모으거나, 애들 학자금을 마련할 때 이용하는 통장, 유식하게 말해서 금융상품이 바로 적금입니다. 

적금 이자 계산 공식

매월 1만원씩 12개월간 입금하는 적금에 가입했다고 합시다. 그리고 적금 금리는 10%라고 합니다. 우리의 적금통장에는 1년 뒤 얼마의 돈이 찍힐까요?

원금 : 1만원 × 12개월 = 12만원

이자 : 12만원 × 10% = 1만 2천원

원금 + 이자 = 12만원 + 1만 2천원 = 13만 2천원이 통장에 찍힐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절대로 아닙니다. 금리가 10%라는 이야기는 1년간 꼬박 돈을 넣어 놓았을 때 10%의 금리를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1월 1일날 입금한 돈은 1년 365일 내내 통장에 들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그만큼 예우를 받습니다. 그래서 10%의 금리를 모두 받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2월 1일날 입금한 돈은 11개월만 통장에 있었습니다. 따라서 11개월분 만큼의 이자를 받을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3월 1일날 입금한 돈은 10개월만 통장에 있었습니다. 따라서 10개월분 만큼의 이자를 받을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계산하면 결국 6500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소득에는 세금이 붙습니다. 이자소득세 15.4%를 떼면 우리 주머니에 실제로 떨어지는 이자는 5499원이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1년 뒤 실제로 받는 돈은

원금 : 1만원 × 12개월 = 12만원

이자 : 5499원

원금 + 이자 = 12만 5499원이 됩니다.

그런데 생할에 바쁜 우리가 이렇게 하나하나 계산을 할 수는 없습니다. 적금 이자 계산 방법을 알았으니 실제로 계산하는 것은 컴퓨터에 맏기면 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적금 이자계산기’라고 입력하면 수많은 결과가 나오는데, 이중에 하나를 선택해 접속하면 쉽게 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 경제신문읽는방법 https://ecodemy.cafe24.com/index.html
728x90

'독서 > 경제·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이란? {금융, 금융기관, 금융권}  (1) 2023.05.08
정기예금 {정기예금이란? , 이자계산 방법}  (0) 2023.05.08
당좌예금  (0) 2023.05.04
예금이란?  (0) 2023.05.04
수표 & 어음  (0) 2023.05.04